레이블이 둘레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둘레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8년 10월 13일 토요일

북한산둘레길 두번째 완주

북한산둘레길(효자길-내시묘역길)
일시 : 2018. 10. 13.
경로 : 사기막골입구 - 효자동공설묘지 - 북한산성주차장 - 방패교육대앞
거리 : 7.8km
소요시간 : 2시간 8분 (strava 앱 기준)

재작년 가을에 마련한 북한산둘레길 스탬프투어 패스포트를 마련하면서 북한산둘레길을 한번더 걷기로 한 이래(북한산둘레길(산너미길) 참조), 2년만에 10구간 효자길, 11구간 내시묘역길을 마지막으로 큰넘과 작은 넘을 교대로 데리고 다니면서 북한산둘레길 22코스의 완주를 끝냈습니다.

작년 추석기념으로 우이령길-충의길을 갔던 후 1년만이네요(추석기념 북한산 둘레길 탐방(우이령길[21]-충의길[12])). 오늘은 작은 넘이 오후에 수학학원이 있고, 큰넘이 학원이 없다고 해서 큰넘과 함께 길을 나섰습니다.

두 구간 각각 3km 남짓되는 거리에 오르막/내리막이 심하지 않은 난이도: 하로 분류되는 길이었기에 생수와 음료수도 많이 마련할 필요도 없었습니다. 중간중간 길이 끊긴 곳에서 길을 제대로 찾지 못해서 앞뒤로 왔다갔다했기 때문에 길만 잘 찾았다면 1시간 30분이면 끝날 수 있는 구간이었습니다.




오늘의 목적은 이 스탬프 투어 패스포트의 빈곳인 효자길과 내시묘역길 스탬프를 받은 후 패스포트의 뒷부분에 있는 인증서까지 도장을 받는 것이었습니다. 제것이랑 큰넘/작은넘 것 3개가 있지만 실제로 2명이 갔을 때는 2개의 패스포트에만 도장을 받았기 때문에 제것만 22개의 스탬프가 모두 찍혔고, 큰넘과 작은 것은 빈 곳이 남아 있습니다.



 




마치 백운대를 올라가는 듯한 반장갑도 꼈지만, 밧줄을 붙잡는 구간도 없어서 패션 아이템 ㅎㅎㅎ 슬슬 걷다보니 2시간만에 코스를 완주했습니다. 백운대를 항상 남쪽에서 북쪽으로 올려다 보기만 했는데, 북쪽에서 남쪽으로 보는 모습은 평상시와 달라서 꽤나 어색하네요.

북한상탐방센터에서 "북한산둘레길 완주인증서"에 도장을 받았습니다. 서울둘레길 완주인증서가 나름 별개의 증서에다 일련번호까지 부여해 주는 것과 비교해서(서울둘레길 완주 인증서 포스팅 참조) 약간 아쉬운 감이 있습니다. 원래는 완주기념 스티커를 기념품으로 주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기념품이 다 소진되어서 받지는 못했습니다.

북한산둘레길 2번째 완주가 일단락되기는 했지만, 아직 남아있는 큰넘과 작은넘의 스탬프 패스포트를 완성하기 위해서 시간날때 또 종종 오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북한산이 가까워서 그렇지 어디서 보는지에 따라서 또 다른 매력이 있는 멋진 산이고 계절따라 느낌도 달라서 자주 찾을 만한 가치가 있을 것 같습니다.


2015년 5월 17일 일요일

서울둘레길 4코스

서울둘레길
서울둘레길 1코스
서울둘레길 2코스
서울둘레길 3코스

두번에 걸쳐 서울둘레길 4코스 대모-우면산 코스를 완주하였습니다.

서울둘레길 4코스는 수서역에서 시작하여 대모산 등성이길을 거쳐 양재시민의 숲에 이르는 4-1코스와 양재시민의 숲에서 우면산 등성이길을 거쳐 사당역에 이르는 4-2코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15. 5. 5. 4-1코스









2015. 5. 16. 4-2코스









남부순환도로 남쪽을 감싸고 있는 산자락을 따라 걷는 코스라고 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코스가 숲길이라서 햇빛이 강한 날에도 큰 부담이 되지 않는 길입니다. 각 코스가 10km 내외로 4코스 전체는 오전 오후 한나절을 들여, 한 코스 씩은 반나절동안 걷기에 적당한 거리입니다. 양재시민의 숲은 많은 사람이 이용하면서도 관리되고 있다는 느낌도 확실히 주는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2015년 5월 7일 목요일

서울둘레길 3코스

서울둘레길
서울둘레길 1코스
서울둘레길 2코스

두번에 걸쳐 서울둘레길 3코스 고덕-일자산 코스를 완주하였습니다.

서울둘레길 3코스는 광나루역에서 시작하여 광진교를 지나 한강변을 걷다가 암사동을 지나 고덕역에 이르게 되는 3-1코스와 고덕역부터 일자산을 지나 방이동생태문화공원까지에 이르는 3-2코스, 방이동 생태문화공원에서 성내천-장지천을 따라 걸어서 수서역에 이르는 3-3코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15. 4. 25. 3-1코스









2015. 5. 3. 3-2 3-3코스






하루에 3코스 전체를 걸으려면 아침일찍부터 서둘러서 걸어야 저녁때 마칠 수 있는 거리입니다. 저같은 경우 10-15km 정도를 3-4시간에 걸쳐 걷는 것이 적당한 운동량이고, 그 이상 걷는 경우에는 다리에 무리가 가서 다음날까지 통증이 생기게 되더군요. 굳이 급할 게 없는 경우에는 10km내외의 코스를 잘라서 완주하는 것이 일주일이나 한달에 한번 등산 내지 하이킹을 가는 일반인에게 무리가 가지 않는 것 같습니다. 3코스에 있는 산들은 나지막한 언덕을 오르면 능선을 따라 걷는 것이어서 평지와 별 다를 바 없고, 코스의 반 정도는 강이나 하천변을 따라 걷는 코스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특색입니다.

2015년 4월 20일 월요일

서울둘레길 2코스

서울둘레길
서울둘레길 1코스

서울둘레길 2코스 용마아차산코스 2-1, 2-2 코스 12.6km
2015. 4. 18. 11:30 - 16:00 (소요시간 4시간 반)
용마아차산코스는 화랑대역에서 시작하여 광나루역에서 끝나는 길로 거리는 12.6km 인데, 중간에 길을 잘못 들어 헤메는 해프닝이 있어서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해서 측정한 실제 이동거리는 16km가 조금 넘었습니다.

금요일 점심을 이용해 양재 시민의 숲 관리사무소에서 서울둘레길 안내지도와 스탬프북을 득템했기 때문에 2코스에 있는 스탬프는 모두 찍을 수 있었습니다.




코스 전반은 화랑대역에서 출발하여 묵동천을 걷다가 신내역-양원역-중랑캠프장을 거쳐 망우산공원으로 진입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은 대부분 평지이거나 완만한 도로변길이기 때문에 큰 부담이 없습니다.








망우산공원은 묘지공원으로 초입에 능선까지 올라가는 계단길이 약간 경사가 있을 뿐이며, 망우리공원부터 용마산에 이르기까지 완만한 아스팔트능선길이 이어집니다. 이미 중랑둘레길이었던 곳을 서울둘레길로 편입시킨 것입니다. 벚꽃이 약간 지긴 했지만 길 자체도 길에서 내려다 보이는 중랑구 전경도 매우 빼어나서 걷는 내내 감탄했습니다.









망우산공원 능선길이 끝나면 용마산 능선과 이어지는데, 용마산을 들어서서 570계단의 깔딱고개가 이 코스의 가장 높은 경사이며 깔딱고개를 지나면 또 완만한 산길능선이 계속됩니다.




용마산 능선은 아차산 능선과 이어져 있으며 용마산능선과 아차산능선의 서울둘레길은 구리둘레길, 광진구의 문화생태환경길 등과 겹칩니다.











망우리공원-용마산-아차산 능선으로 이어지는 길은 아래로 서울과 한강 경치를 내려다보면서 1시간 이상 이어지는 서울둘레길 2코스의 핵심으로 보입니다. 아차산에 가까이 가니 건설중인 제2롯데월드가 가까이 보이더군요. 작년인지 아차산쪽으로 올라와서 용마산 정상을 찍고 내려간 적이 있었는데, 용마산쪽에서 내려가는 길은 엄청 험했습니다.  능선에서 가까운 지하철역까지 1-2km 정도이므로 일단 능선에 들어서면 끝까지 가서 내려가는 것이 코스완주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