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줄임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줄임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8년 8월 20일 월요일

2018 인싸용어 총정리


"인싸"란 말뜻이 "아웃사이더"(아싸)의 반대말로 무리와 어울려 잘 활동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라는 것을 알게된 것도 얼마 된 것 같지 않은데, 트위터에 같은 제목으로 용어를 정리한 것이 있어서 옮겨봅니다. 일종의 "올해의 신조어"(물론 오래된 것도 꽤 보이네요)+급식체+줄임말+유행어 인 것 같네요. "별다줄"이란 생각이 계속 나긴 합니다만 따라잡아 봅시다!! (페이스북: 박현진님, 트위터 [ 현생 미워 !!!] 쓰뺌이밍밍 @Seo0723Min 님, 감사합니다.)

1. JMT= 존맛탱 2. 존버 = 존나 버티다 3. 팬아저 = 팬아니어도 저장 4. TMI = 너무 과한 정보 5. 일생가? = 일상생활 가능? 6. 롬곡 = 눈물 7. 노란색사고싶다 = 소리내서 읽어보셈 8. 옷파랑색사고싶다 = 소리내서 읽어보셈 9. 혼코노 = 혼자코인노래방
10. 이생망 = 이번생은 망했다 11. 할많하않 = 할말은 많지만 하지 않는다 12. 법블레스유 = 법이 아니었음 너는 이미 칼 맞아 죽었다 13. 롬곡옾높 = 폭풍눈물 14. 사바사 = 사람바이사람 15. 별다줄 = 별걸 다 줄인다 16. 좋못사 = 좋다 못해 사랑한다 17. 나일리지 = 나이 + 마일리지
18. 제곧내 = 제목이 곧 내용 19. 아아 = 아이스 아메리카노 20. 이다박박 = 이래서 다들 박현진 박현진 21. 복세편살 = 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자 22. 괄도 네넴띤 = 팔도 비빔면 23. 덕페이스 = 셀카 찍을 때 입술을 내미는 표정 24. 애빼시 = 애교 빼면 시체 25. 발컨 = 발로 컨트롤
26. 영고 = 영원한 고통 27. 마상 = 마음의 상처 28. 비담 = 비주얼 담당 29. 엄근진 = 엄격,근엄,진지 30. 갑분싸 = 갑자기 분위기 싸해짐 31. 갑분띠 = 갑자기 분위기 띠용 32. 렬루 = real루 33. 커엽다 = 귀엽다 34. 와우내 = 놀라움을 나타내는 감탄사 35. 실화냐다큐냐멘큐냐 = 그대로 뜻
36. 톤그로 = 화장한 얼굴이 너무 떠서 어그로 된다 37. 전차스 = 전자파 차단 스티커 38. = 샵지, 시아버지 39. 행복회로 = 현실과 다른 행복한 상상 40. 읽페 = 페북스토리 읽으면 페메 보낸다 41. 좋페 = 좋아요 누르면 페이스북 메세지 보낸다
42. 우유남 = 우월한 유전자를 가진 남자 차은우 43. 노란마트 = 이마트 44. 핵인싸 = 인사이더 중에 인사이더 45. 머쓱타드 = 머슥하다 46. 막내온탑 = 막내가 윗사람보다 강한 면모를 보여주는 것 47. 누물보 = 누구물어본사람? 48. 문찐 = 문화찐따 49. 소확행 =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50. 번달번줌 = 번호달라하면 번호 줌 51. 삼귀다 = 사귀다보단 덜한 사이 52. 고답 = 고구마 먹은 것처럼 답답하다 53. 혼모노 = 진짜가 나타났다 54. 댕댕이 = 멍멍이 출처 : 페이스북 박현진님


2018년 2월 26일 월요일

2018년 신조어 모음



2014년부터 인터넷 신조어를 알아듣기 어려워서 공부(?!)하기 시작했는데요.

인터넷 신조어
[은어/속어] 20대가 많이 쓰는 용어 10개

겹치는 게 좀 있기도 하지만 2018년판을 트위터에서 보고 옮겨 봅니다.
발컨이나 현타, 케바케는 신조어는 아닌데 말입니다...

갑분싸 ➡️ 갑자기 분위기 싸해짐
혼코노 ➡️ 혼자 코인 노래방
롬곡옾눞 ➡️ 폭풍눈물
사바사 ➡️ 사람바이사람
케바케 ➡️ 케이스바이케이스
문찐 ➡️ 문화찐따
번달번줌 ➡️ 번호 달라고하면 번호 줌
이생망 ➡️ 이번 생은 망했다
팬아저 ➡️ 팬이 아니여도 저장
존버 ➡️ 존나버틴다
렬루 ➡️ real루
복세편살 ➡️ 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자
괄도 네넴띤 ➡️ 팔도 비빔면
덕페이스 ➡️ 셀카찍을때 입술을 내미는 표정
애빼시 ➡️ 애교 빼면 시체
발컨 ➡️ 발로 컨트롤
할많하않➡️ 할말은 많지만 하지않는다
영고 ➡️ 영원한 고통
마상 ➡️ 마음의 상처
현타 ➡️ 현실 자각 타임
비담 ➡️ 비주얼 담당
톤그로 ➡️ 톤 어그로
법블레스유 ➡️ 법이 아니였으면 너는 이미 칼맞아 죽었다
엄근진 ➡️ 엄격,근엄,진지
TMI ➡️ Too much information 너무 과한 정보

이걸 줄여야 하나, 생긴거 뒤집어 놓은 말을 해독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새로 알게 된 것도 좀 있고 ㅎㅎㅎ
원출처는 여기입니다.
열심히 외워서 청소년(멀은 것 같죠? 조금 있으면 애들이 청소년됩니다)과 소통하도록 합시다. 커엽게 봐줄지도 모릅니다.







2014년 4월 7일 월요일

인터넷 신조어

요새는 일을 하면서 항시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고, 유명하다는 게임은 웬만큼 접해 봤으므로 젊은 이들에 비해서 인터넷 신조어에 나름 익숙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고등학교를 졸업한지 20년이 넘어 버린 나이를 가끔 인식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며칠 전인가요. 사무실의 여직원분이 저녁약속이 있는데, 제가 퇴근 시간에 임박하여 정리해 달라고 보낸 서면을 막 정리하고 계셨죠. 그래서 약속장소가 어딘지 물어보았습니다. 그런데 여직원분 대답이 "고터요"

한 5초간 내가 들은 단어가 무엇인가 생각하였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고터"란 단어에 맞는 장소를 찾아낼 수 없었습니다. "대치역 근처의 "한티"역 처럼 "고터"란 한글로 이름을 붙인 새로운 지하철역이 생겨서 요새는 젊은 사람들은 거기서 약속을 하는 것인가?"란 생각마저 스쳐지나간 다음 여직원분께 되물을 수 밖에 없었죠. "고터가 뭐에요?"

그러자 여직원분이 황당하다는 표정으로 말씀해 주셨죠. "고속터미널이요" 나름 인터넷과 가까이 지낸다는 제가 줄임말에 이렇게 당황하는데, 각종 게시판 댓글을 보는 저보다 나이 있으신 분들은 더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버카충"에 이어 다시 겪는 문화충격이랄까요 ㅎㅎ 혹시 아직도 버카충을 모르시진 않겠죠? (버스카드충전의 줄임말입니다)

요새 소유-정기고의 "썸"이라는 노래가 소녀시대와 투애니원의 신곡발표에도 불구하고 한달 넘는 기간 인기가요 정상을 지켰다는 것이 기사거리가 되기도 했는데요. "썸"같은 것도 알아두면 좋은 인터넷 신조어입니다. 이렇게 설명되네요.


  •  : 「형용사」 : 영어 'Something'에서 유래된 언어. 연인 관계는 아니나, 연인 관계로 발전 가능성이 있으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뜻하며, 원래는 썸씽이라는 단어로 쓰였으나, 영어 발음과 비슷한 바람에 현재의 단어에 오게 되었고, '썸 탄다' 등의 단어로 쓰인다. 썸을 타는 남자는 썸남, 썸을 타는 여자는 썸녀라고 불린다.

이외에 요즈음 인터넷에서 접하고 알게 된 말도 몇개 소개해 봅니다. 2007년에 "ㅇㅇㅋ굳ㅋ"와 같은 용어가 유행할 때 느꼈던 당혹감은 아니지만, 기상천외한 맥락에서 발화된 말들이 신조어로 자리잡는 것을 보면 신기합니다. 제가 유래를 몰랐던 말들 중심입니다. 잉여라는 말은 손창섭의 소설 "잉여인간"에서 나온 것이라는 설명을 덧붙이는 것이 적절할 것 같네요.

  • 관광 : 대결 또는 시합에서 압도적인 격차로 이긴 것을 뜻한다. 디시인사이드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서 유래되었다. 외국에서는 압도적으로 패배한 시합이나 대결을 일방적인 싸움에 비유하여, RAPED(강간당하다)라는 말이 쓰였고, 이를 본따 사용해,  강간당했습니다. 등의 표현이 퍼지게 되었다. 강간의 부정적인 의미 때문에 발음이 비슷한 관광으로 변하게 되었고, 현재까지 오게 되었다. 근원되는 어원이 강간이므로, 왠만하면 쓰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실제로 외국에서도 Raped라는 단어를 이러한 용법으로 공적인 자리에서 쓰게 되면, 크게 욕을 먹거나, 생각이 없는 사람 취급을 받는다고 한다. 반대말로 역관광이 있다.
 
  • 잉여 : 「명사」: 원래 경제 용어 중에 '잉여 생산물'에서 쓰이던 언어. 보통 '사회에서 크게 필요로 하지 않는 존재'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인간 쓰레기라는 의미로도 쓰이며, 말죽거리 잔혹사 라는 영화에서는 이 단어를 응용하여, 현수의 아버지가 주인공인 현수에게 "잉여인간이야 잉여인간, 인간쓰레기!" 라고 욕하는 대사가 있었다.
 

  • ㅇㅅㅇ, ㅇㅂㅇ, ㅇㅁㅇ : "ㅇㅇ"이라는 단어를 대체하기 위해, 상대방의 의견을 들을 때 나오는 단어. 보통 ㅇㅅㅇ은 얘기를 들어주거나 응답을 할 때(ㅇㅅㅇ... 그렇구나), ㅇㅂㅇ은 ㅇㅂㅇ?으로 보통 의문(ㅇㅂㅇ? 그래서?)을 가질 때 쓰이며 ㅇㅁㅇ은 이해했다 등의 의미(ㅇㅁㅇ! 아항!)로 쓰인다. 보통 이런 용도로 쓰이나, 경우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한다.
 
  • 주작: 「명사」'조작'의 의미로 사용된다. '프로게이머 승부조작'으로 유명해진 마재윤의 아프리카 방송에서 시청자들이 채팅창에 '조작'이라는 단어를 자주 쓰자 마재윤이 이를 금지어로 걸었고 이에 유저들이 조작과 단어가 비슷한 '주작'을 쓰기 시작하면서 자주 쓰이게 되었다.
 
  • 호옹이: 「의성어」'으아아아'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돌렸을 때 마치 '호옹이'를 세로쓰기한 것처럼 보여서 그대로 읽은 단어. 비명소리로 사용한다.
 
  • 팀킬(Team Kill): 「동사」 같은 팀을 공격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 캐리 : 「명사」: 리그오브레전드라고 흔히알고있지만 도타에서 빠져나온언어로 팀을 승리로 이끈사람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