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2월 26일 월요일
2018년 신조어 모음
2014년부터 인터넷 신조어를 알아듣기 어려워서 공부(?!)하기 시작했는데요.
인터넷 신조어
[은어/속어] 20대가 많이 쓰는 용어 10개
겹치는 게 좀 있기도 하지만 2018년판을 트위터에서 보고 옮겨 봅니다.
발컨이나 현타, 케바케는 신조어는 아닌데 말입니다...
갑분싸 ➡️ 갑자기 분위기 싸해짐
혼코노 ➡️ 혼자 코인 노래방
롬곡옾눞 ➡️ 폭풍눈물
사바사 ➡️ 사람바이사람
케바케 ➡️ 케이스바이케이스
문찐 ➡️ 문화찐따
번달번줌 ➡️ 번호 달라고하면 번호 줌
이생망 ➡️ 이번 생은 망했다
팬아저 ➡️ 팬이 아니여도 저장
존버 ➡️ 존나버틴다
렬루 ➡️ real루
복세편살 ➡️ 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자
괄도 네넴띤 ➡️ 팔도 비빔면
덕페이스 ➡️ 셀카찍을때 입술을 내미는 표정
애빼시 ➡️ 애교 빼면 시체
발컨 ➡️ 발로 컨트롤
할많하않➡️ 할말은 많지만 하지않는다
영고 ➡️ 영원한 고통
마상 ➡️ 마음의 상처
현타 ➡️ 현실 자각 타임
비담 ➡️ 비주얼 담당
톤그로 ➡️ 톤 어그로
법블레스유 ➡️ 법이 아니였으면 너는 이미 칼맞아 죽었다
엄근진 ➡️ 엄격,근엄,진지
TMI ➡️ Too much information 너무 과한 정보
이걸 줄여야 하나, 생긴거 뒤집어 놓은 말을 해독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새로 알게 된 것도 좀 있고 ㅎㅎㅎ
원출처는 여기입니다.
열심히 외워서 청소년(멀은 것 같죠? 조금 있으면 애들이 청소년됩니다)과 소통하도록 합시다. 커엽게 봐줄지도 모릅니다.
2018년 1월 9일 화요일
2018년과 친숙해지기
2018년이 된지 열흘이 되었습니다.
2018년이 되었다고 해도, 문서에 날짜를 쓸 때 아직도 2017년이라고 무심코 적는 실수를 하곤합니다. 이런 실수를 더이상 하지 않게 되는 것은, 큰 실수를 해서 크게 각인되거나, 한 3개월 정도 지나서 익숙해지거나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3개월 정도가 되기 전에 2018년에 익숙해지는 좋은 방법이 또 하나 있습니다. 연하장을 쓰는 것입니다. 요새는 카톡이나 문자 등으로 새해인사를 하고 심지어 청첩도 온라인으로 하는 게 대세인 것 같기는 하지만, 오히려 시류가 이렇게 바뀌고 나니 연하장을 받으신 분들이 굳이 한번 더 제게 연락하게 되는 좋은 효과도 생기기도 합니다. 올해도 연하장에 간단한 새해인사와 날짜를 써넣으면서 2018년이라고 백번 넘게 썼으니, 왠만해서는 2018년을 2017년으로 잘못쓰는 실수를 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해 봅니다.
오랜만에 북부지방법원에 오전 오후 재판이 하나씩 있어서 점심을 먹고 북부지방법원 후문 쪽에 cafe malo 라는 곳에 와서 컴퓨터를 켰습니다. 주변에서 두런두런거리는 소리를 들으며 포스팅 작성하는 재미도 쏠쏠하네요.
포스팅을 봐주시는 모든 분들께 새해 인사드립니다.
새해 건강하시고, 기쁜 일만 함께 하시길 기원합니다.
2018. 1.
고재현 배상
2018년 1월 2일 화요일
새해 연하장
2016년부터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상근조정위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매주 금요일 오후에는 서울중앙지방법원 별관에서 3-4건의 조정을 처리하는 일입니다. 휴정기간에는 기일을 잡지 않기 때문에 이번주와 다음주에는 없기는 하지만, 휴정기간을 제외하고 매주 금요일 오후일정은 원칙적으로 조정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집에서 우편물을 확인하는데, 서울중앙지방법원장님께서 연하장을 보내주셔서 흐뭇했습니다. 조정위원을 하니 연하장도 받고 연말연시 기분이 나네요. 저도 매년 해왔던 것처럼(연하장 보내기 포스팅 참조) 연하장을 준비해야겠습니다.
힘찬 2018년 새해 맞이하시기 바랍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