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관용성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관용성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10월 22일 목요일

[사용기] PING G30





2013년 골프를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겠다고 생각하고서 최초로 교체한 장비는 바로 드라이버였습니다. 물론 고가의 드라이버로 교체할 생각은 하지 못했고, 테일러메이드에서 출시한지 2년 정도 된 제품을 벌크로 싸게 풀었던 버너 슈퍼패스트를 업어온 것이 저의 2번째 드라이버였습니다(첫번째는 나이키 이그나이트-아시는 분이 있을랑가...). 그마저도 아시아스펙이 아니라 US 스펙이어서 채가 더 길고 무거운 느낌이었지만 어쨌든 2년동안 드라이버에 제 몸을 맞추어서 최근에는 고질적이던 슬라이스도 많이 잡았다는 느낌이었습니다.

쓰던 드라이버 헤드가 깨지거나 하지는 않았었는데, 친한 친구가 드라이버를 바꾸면서 저도 새로운 드라이버로 교체할 생각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친한 친구가 바꾼 드라이버가 바로 핑의 G30이었는데, 저도 교체를 생각하면서 처음 생각했던 것은 많은 사람들이 쓰기도 하고, 거의 최고가의 드라이버인 타이틀리스트 915D2/D3 였습니다.

주변에 타이틀리스트 드라이버 쓰시는 분의 채를 쳐보기도 하고, 골프용품점의 채를 쳐보기도 했지만 타이틀리스트 드라이버는 너무 샤프트가 강해서 그런지 적응이 쉽지 않았고 타감도 그리 좋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우연히 친구가 쓰는 채이기도 한 G30을 한번 시타해 봤더니 의외로 비거리가 잘 나는 것이었습니다. 200미터 내외이던 비거리가 220미터 이상을 계속해서 찍게 되자 G30으로 마음을 굳혔습니다.

실전에서는 3번 정도 쳐본 것 같은데, 종전 드라이버인 버너 슈퍼패스트보다 헤드가 가벼운 느낌이라 일찍 돌아가버리는 경우가 많아서 고질적인 슬라이스보다는 훅으로 OB가 나는 경우가 더 많아졌습니다. 좀더 친해지면 괜찮아 질 거라고 굳게 믿고 싶습니다.

실제로 쳐본 결과 확실히 평균 비거리가 10-20미터 정도 늘었습니다. 인도어 연습장에 나가면서 가끔씩 컨디션이 괜찮아서 드라이버를 칠때마다 정타가 나야 10번에 3-4번 맞추던 뒷그물을 정타를 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역시 관용성의 핑) 10번 치면 7-8번 맞추고 나니 잘 바꾸었다는 생각이 절로 들더군요.

*바로 저 뒤에 230(야드)라고 씌어 있는 뒷그물입니다.

생일을 맞아 드라이버 교체를 윤허해준 마눌님께 감사드립니다.

2014년 7월 7일 월요일

[사용기] SLDR S Rescue 하이브리드






스크린 골프장에서 RBZ 하이브리드 채를 사용해 보고 난 이후(관련 포스팅-멘탈게임테일러메이드 코리아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았습니다. 그런데 RBZ 하이브리드는 2012년 이후 생산되지 않고 현재 테일러메이드에서 미는 채는 SLDR S Rescue 하이브리드더군요. 사이트의 채 소개 페이지에 1주일간 무료로 렌탈해 주는 서비스가 있어서(배송비는 부담해야 합니다), SLDR S Rescue 채를 렌탈신청해 보았습니다.

참고로 제 골프실력은 2006년에 머리를 올렸지만 1년에 3-4번 라운딩을 나갈까 말까 하면서 연습은 거의 하지 않아 퇴보하던 차에 작년에야 규칙적인 연습과 1달이 2번 정도의 라운딩을 하면서 100타를 깬 것이 두어차례, 올해에도 두 번정도 100타를 깬 것 외에는 모두 100타에서 110타를 오가는 소위 "백돌이"이고, 골프채 구성은 우드를 잘 치지 못해서 백에서는 우드를 모두 뽑아버리고 우드 대신 하이브리드 채 하나만 들고 다니고(물론 롱아이언도 못칩니다) 있습니다.

테일러메이드 하이브리드 채는 이름을 바꾸면서도 초기 명칭인 Rescue를 유지하고 있는데, 페어웨이에서의 긴거리가 필요한 경우, 우드도 롱아이언도 자신이 없는 골퍼들을 구해준다는 의미가 들어있어서 그렇지 않나 생각됩니다. 지금 가지고 있는 하이브리드 채는 핑의 i20 23도이고 이게 4-5번 아이언 대용으로 쓰이고 있어서 잘 맞으면 거리가 150-160미터 정도 나갑니다.  이것보다 조금더 긴 거리를 커버하는 채를 마련하고 싶어서, 이것보다 로프트가 약간 더 세워지는  22도의 채를 신청하였더니 지난 목요일 사무실에 도착하였습니다(위 사진 참조).

무게는 별 차이가 없다고 생각되었는데 연습할 시간 없이 토요일 라운딩에 가져가 보았더니 칠 기회는 파5홀에서의 4번 정도였습니다. 그나마 2번은 채 안쪽에 맞아서 미스샷이었고 한번은 공 윗부분을 친 것 같은 느낌이어서 결국 정타는 하나도 없이 라운딩은 마무리 orz.

결국 인도어연습장과 스크린골프장에서 한 100번 정도 스윙을 해 본 느낌으로 사용소감을 쓸 수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쳐본 느낌은 생각보다 가볍고 잘 맞는 경우 160-170미터 정도의 거리를 커버해 줍니다. 헤드가 지금 가지고 있는 핑 i20보다 약간 커서 익숙하지 않다 보니 미스샷이 가끔 나는 문제가 있긴 한데, 왠만큼 뒷땅을 때려도 20미터 정도의 거리손실만을 발생시킬 뿐 40-50미터 밖에 안나가는 우드나 롱아이언보다 뛰어난 관용성을 보여주더군요. 스크린 골프장에서 친 최대거리는 175미터 정도였습니다.

이번 렌탈은 아쉽게도 요새 온라인 골프마켓들에서 싼 값에 풀리고 있는 RBZ 보다 제 값을 주고 SLDR S Rescue를 택할 유인이 되지는 못할 것 같네요. 아무래도 가격이라는 측면에서 구형 채이긴 하지만 10만원 미만의 가격으로 풀리고 있는 RBZ보다 정가 25만원의 SLDR S Rescue 가 3배 이상의 퍼포먼스를 보여주지는 못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아직 채를 평가하기에는 한참 모자란 제 실력이 가장 큰 이유이긴 하지만,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면 저는 RBZ 하이브리드쪽으로 맘이 기울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어쨌든 좋은 채를 시타해 볼 기회를 준 테일러메이드 코리아 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