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23일 금요일
[골프]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골프를 하게 되면서 어느 정도 연습을 하게 되면 볼을 똑바로 보내는 스윙을 하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제 경험상 70-80%의 확률로 내가 보내고 싶은 방향과 거리로 공을 띄워보낼 수 있는 정도면 실력있는 골퍼라는 말을 듣기에 부족하지 않습니다. 골프채를 처음 잡고 나서 TV에서 본 프로골퍼처럼 스윙을 하는 것은 현재 상태에서는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이 골프를 시작하는 사람의 숙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1-3개월 정도 7번 아이언과 씨름을 하다 보면 공이 맞아나가고 실력이 늘었나 싶은데, 드라이버를 잡으면 진정한 멘붕이 오기 시작합니다. 초보의 진정한 적 "슬라이스"와 맞닥뜨리기 때문입니다. 좌우로 넓은 레인지 연습장의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으로 휘어나가는 푸쉬성 슬라이스부터, 똑바로 나가는가 했지만 낙하지점은 목표방향에서 50미터이상 떨어져 있는 슬라이스까지이 슬라이스를 잡는데는 적게는 6개월에서 1-2년이 걸리고, 대부분의 주말골퍼에게는 필드에 나가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오랜 친구"가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어쨌든 그렇다면 "슬라이스"는 어떻게 잡아야 하는가부터, 100타를 깨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숏게임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등의 물음은 정기적으로 레슨을 받는다면 "레슨프로"로부터, 독학 골퍼라면 인터넷의 각종 잡지나 칼럼, 유튜브 동영상에서 해결하려고 합니다. 저 같은 경우 "골프존" 사이트의 각종 칼럼과 블로거 "마인드골프", "굿샷김프로"님의 인터넷상 레슨과 동영상 등을 찾아보는 편입니다. 그런데 요즈음 신문을 보다보니(중앙일보의 골프 관련 기사가 양과 질 면에서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박세리 프로가 매주 금요일 스포츠란에 골프칼럼을 연재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내용이 구체적이고, 자신의 경험에 기초하고 있어서 느끼는 바가 많습니다. 7번 정도 연재된 것으로 보이는데, 골프여왕 박세리의 노하우를 습득하고 싶은 분들께 추천합니다.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러닝 어프로치샷, 손목 꺾지 말고 체중은 왼발에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다운스윙 때 왼 허벅지 안쪽으로 힘 지탱해야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우드샷할 때는 왼발 쪽에 공 놔야 똑바로 멀리가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양팔과 어깨 삼각형 유지하며 클럽들어올려야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맞바람 땐 티 낮게 꽂고 클럽헤드도 낮게 유지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드로샷, 왼발 살짝 안쪽으로 오므리고 스윙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페이드 구질은 티박스 오른쪽서 왼쪽 보고 쳐야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풀 길지 않은 러프에선 콕 쥐어박듯 굴리면 좋아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풀그린 경계에 걸친 공 웨지 날로 굴리는게 좋아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몸 중심 지키며 경사면 따라 어깨높이 맞춰라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공이 발보다 높을 땐 클럽 짧게 쥐고 오른쪽 향해 샷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풀에 공이 박혔을 땐 핀 노리지 말고 탈출에 집중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디벗에 놓인 공, 체중 왼발에 두고 찍어치듯 샷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왼발 내리막지형, 어깨와 지면 평행 유지해야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클럽 완전히 열고 공 3-5cm 뒤 모래 먼저 때려야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에그프라이샷, 클럽 살짝 닫고 가파르게 찍어쳐야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왼쪽 눈 밑에 공 두고, 그립은 30% 힘으로 살짝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백스윙 팔로스루 길이 같게 끊어치지 말고 밀어야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1.5m 짧은 퍼팅, 홀 안쪽 뒤편보고 가볍게 굴려야
[골프여왕 박세리 챔피언 레슨] 그린 경사 정확히 읽고 홀 아닌 꺾이는 지점 향해 굴려야
2016년 8월 12일 금요일
[골프] Loft
아이언을 미즈노 JPX825 forged (2013) 모델로 교체한지도 3년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모든 클럽의 그립을 최대한 짧게 올려잡다가, 그립을 교체하면서 아이언 그립은 그립 중간을 잡는 방식으로 바꾸는 등 변화가 있었는데, 그 탓인지 아이언의 비거리도 덩달아 늘어나서 웨지의 풀스윙시 거리 간격이 너무 넓어졌습니다. 웨지를 하나 더 사야 하는지 고민을 하게 되었는데 그 전에 아이언과 웨지의 로프트를 확인해야 할 것 같아 제 아이언-웨지의 로프트를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로프트는 아이언의 날과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 사이의 각도을 말하는데, 이 각이 크면 클수록 채가 지면에 더 달라붙어(누워) 있고, 이 각이 작으면 작을 수록 지면과 떨어져(서) 있는 모양입니다. 로프트가 작으면 작을 수록 먼 거리를 치는 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참고로 가장 멀리 치는 채인 드라이버의 로프트가 9도-10.5도 정도입니다.
제 아이언의 로프트는 4번 - 22도, 5번 - 24도, 6번 - 27도, 7번 - 31도, 8번 - 35도, 9번 - 39도, PW - 44도, GW - 49도, SW - 55도네요. 요새 PW - 110미터 GW - 100미터 정도 날아가는데, SW는 70미터 정도 밖에는 거리가 안되어서 GW와 SW 사이에 80-90미터를 커버하는 채를 하나 더 넣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로프트만 보면 52도를 마련하는게 답일 것 같기도 합니다. 언제 타이틀리스트 보키 웨지 시타를 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검은 색 보키 웨지가 멋져 보였거든요 ㅎㅎㅎ(관련 포스팅 타이틀리스트 보키 웨지 SM6)
제 아이언의 로프트는 4번 - 22도, 5번 - 24도, 6번 - 27도, 7번 - 31도, 8번 - 35도, 9번 - 39도, PW - 44도, GW - 49도, SW - 55도네요. 요새 PW - 110미터 GW - 100미터 정도 날아가는데, SW는 70미터 정도 밖에는 거리가 안되어서 GW와 SW 사이에 80-90미터를 커버하는 채를 하나 더 넣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로프트만 보면 52도를 마련하는게 답일 것 같기도 합니다. 언제 타이틀리스트 보키 웨지 시타를 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검은 색 보키 웨지가 멋져 보였거든요 ㅎㅎㅎ(관련 포스팅 타이틀리스트 보키 웨지 SM6)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