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소설집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소설집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9년 12월 27일 금요일

[책소개] 일의 기쁨과 슬픔


장류진 소설집, 일의 기쁨과 슬픔, 창비(2019)

이 소설집을 주문한 것은 약간의 충동 때문이었습니다. 중앙일보의 한해를 결산하는 책들을 소개하는 기사 한켠에 젊은 여류 작가의 소설집에 대한 평이 맘에 들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기억되네요. 그리고 성탄절 전에 주문해서 성탄절 직후에 도착한 책은 술술 잘 읽혔습니다. 현학적이지 않고 단도직입적으로 딱딱 하고 싶은 말을 하는.. 아마도 저보다 10-20살 어린 친구들의 삶과 생활태도가 이런 것이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당근마켓 인 것으로 보이는 중고거래마켓 시스템이 소설에 나와서 깜짝 놀랐네요.

아무래도 이상문학상 수상 소설들과 비교하지 않을 수 없는데, 소설집에 대한 평론가 인아영의 평이 인상적이어서 인용해 봅니다.

어쩌면 그간 한국문학은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이나 내면의 거대한 심연을 드러내는 개인에게 유난한 값어치를 부여해왔는지도 모른다. 외부 세계와의 불화를 기꺼이 감당하면서 무언가를 추구하는 개인에게 소설의 본질적인 기능과 역할을 기대해오면서 말이다. 그러나 장류진의 소설에 등장하는 산뜻하고 담백한 인물들은 자본주의 시스템 안에서 살아가야 하는 개인들의 작고 평범한 기쁨을 포착해낸다. 그렇다면 장류진의 소설과 더불어 우리는 이제 한국문학의 개인에 대해 이렇게 사유해 볼 수 있겠다. 이 사회에서 을이자 약자인 여성, 청년, 노동자들이 특유의 생존감각으로 시스템을 체화하고 탄력적으로 구부려, 가장 빠르게 정확하게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말이다.
-인아영, 센스의 혁명, 장류진 소설집, 일의 기쁨과 슬픔, 창비(2019), 230-231면.

가볍게 읽을 수 있지만 그 안에 담긴 고민과 삶의 깊이에 대해 한번더 생각해 보게 만드는 소설로 추천합니다.

2017년 7월 11일 화요일

[책 소개] 악마의 증명


도진기, 악마의 증명, 비채(2017)

어디선가 책소개 글을 본 것 같은 책이 오랜만에 들른 서점에서 눈에 들어 집어들었습니다. 도진기 판사님의 소설을 읽어본 기억이 있는데... 찾아보니 2010년부터 상당한 수의 추리소설-미스테리 소설을 발표해 오셨더군요.

악마의 증명은 단편소설 모음집인데, 약간의 등장인물이 겹쳐서 나오는 간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정도입니다. 하나하나의 이야기가 나름의 매력이 있습니다. 수록된 단편들 모두 맘에 들었지만 마지막 네편 "구석의 노인", "시간의 뫼비우스", "킬러퀸의 킬러", "죽음이 갈라놓을 때" 모두 반전을 흥미진진하다고 생각하며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추리소설이라고 하면 일본소설 밖에는 나오지 않는 척박한 국내환경에서 이 정도 재미의 소설들을 내고 계신다니 존경스럽네요. 뒤통수를 치는 정도의 충격적인 반전을 기대하지만 않는다면 한여름 더위를 잊고 탐독해 볼만한 책으로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