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8일 월요일
[책 소개] 죽여 마땅한 사람들
피터 스완슨(노진선 역), 죽여 마땅한 사람들, 푸른숲(2016)
여름 휴가때마다 휴가지에서 읽을 책들을 한두권 정도 마련해서 읽어야 겠다는 결심을 꽤나 많이 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휴가가 그렇듯 빡빡한 일정에 가져간 책을 읽을 시간을 내기 쉽지 않았고, 시원한 바람이 부는 가을이 되어서 휴가때 읽으려고 했던 책을 다시 잡곤 했었지요. 그런데 이번 여름휴가는 중학생이 된 애들의 스케줄, 예년과는 스케일이 다른 폭염, 휴가철이 다 되어 알아보는 성수기 숙박요금에 대한 체념 등으로 짤막한 교외 나들이 정도로 대체되면서 휴가에서 읽으려고 산 책을 정말 다 읽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트위터 등에서 좋은 평을 본 기억이 있어서 평소에 책을 그리 즐겨 읽지 않는 마눌님에게 안기려고 샀던 책이었는데, 제가 먼저 보고는 훅 빠져버려 이틀만에 다 읽어버렸네요. 표지에서 선전하는 것과 같이 깜짝 놀랄만한 반전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을 것 같지만, 2부 첫부분은 저를 "흠칫" 놀라게 했다는 점에서 "반전"이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야기의 소재와 내용 자체는 진부하다면 진부할 수 있는 것인데,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이 꽤나 참신하다고 생각합니다. 초등학교 고학년 때 작은 할아버지 댁에 가서 처음 읽었던-그리고 선정성이 적절히 가미되어 빠져들었던- 시드니 셸던의 소설을 다시 읽는 느낌이어서 반갑기도 했습니다.
소설의 줄거리와 크게 관계없지만, 맘에 드는 구절을 인용해 봅니다.
다들 전형적인 프레피 속물이었다. (우리 엄마가 종종 인용하는 대로) 3루에서 태어난 주제에 자기가 3루타를 쳤다고 생각하는 인간들. 그래도 대체로 예의바르고, 전날 밤에 얼마나 취했느냐 혹은 오늘 얼마나 취할 것이냐가 요점이 아닌 대화를 나눌 줄 알았다. 그들은 어른인 척 하는 소년들이었고, 따라서 정치와 문학에 관한 소신을 피력하면서 내게 잘 보이려고 노력했다. 모두 계획된 술수였다 할지라도 나는 그런 수고가 기특했다.
피터 스완슨(노진선 역), 죽여 마땅한 사람들, 푸른숲(2016), 124-125면.
2015년 4월 15일 수요일
[책 소개] 스테이트 오브 더 유니언 (State of the Union)
더글러스 케네디/조동섭 역, 스테이트 오브 더 유니언, 밝은 세상(2014)
일요일에 주차 때문에 수유역 교보문고에 갈 일이 있었는데, 순전히 주차티켓에 도장을 받을 목적으로 베스트셀러 소설부분 1위를 하고 있던 책을 집어들었습니다. 유쾌한 내용의 책은 아닐 거라고 예상했지만, 작가의 전작들 몇편을 읽어본 적이 있는터라 엔딩도 우울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산 것이라고 하는 게 정확할 것입니다.
그렇게 고른 책 치고는 재미있었습니다. 나름 막장드라마 같은 설정에, 굳이 필요없어 보이는 인물을 등장시키는 것에 어떤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면서 읽다보면 술술 풀리는 구성이었기 때문이었는데도 별 불만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작가는 왜 제목을 신년 국정연설을 뜻하는 "State of the Union"으로 한 것일까요. 소설을 다 읽어도 해결되지 않는 의문입니다.
나름 소설에서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이었다고 생각되는 부분
우리와 가까운 사람조차 간혹 이해할 수 없는 일을 한다. 한편으로는 우리 자신도 스스로 이해하지 못하는 일을 한다. 우리는 타인을 진정으로 이해할 수 없을 뿐더러 자기 자신도 진정으로 이해하지 못한다.
-더글러스 케네디, 스테이트 오브 더 유니언, 밝은 세상(2014), 568면.
라벨:
더글러스 케네디,
밝은 세상,
소개,
소설,
스테이트 오브 더 유니언,
신년 국정연설,
조동섭,
책,
책소개,
State of the Union
2014년 9월 24일 수요일
[소개] DAYONE
어제부로 이메일 일기서비스 ohlife 가 서비스종료([소개] oh-life: 이메일로 일기쓰기/foursquare : 위치기반 기록 애플리케이션 참조)되었습니다. 영원한 것은 없다지만 인터넷서비스의 경우도 종료되는 경우를 보게 되니 백업이 갈수록 중요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쨌든 간단하게나마 일기쓰는 tool 이 하나 없어져서 대체할 만한 것을 찾아보았습니다. 맥을 쓰는 입장에서는 맥과 아이폰 및 아이패드 등에서 자동으로 동기화되는 DAYONE 이라는 앱이 적당한 것 같습니다. 2년 전엔가 사놓기만 하고 ohlife와 기능이 겹쳐서 쓰지 않고 있었는데, 이번에 앱스토어에서 다시 사려고 하니 이전에 산 적이 있기 때문에 업그레이드는 무료(!!!)라고 해서 마냥 기뻤습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아이폰용을 앱스토어에서 샀다고 하더라도 맥에서 쓰기 위한 앱은 맥앱스토어에서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사진과 태그 등에 특장이 있는 앱으로 아이폰이나 맥을 사용하시는 분들께 추천합니다.
잘 소개해 놓은 블로그가 있어 링크를 걸어 놓습니다. 조선일보에서도 최고의 일기장 앱으로 소개된 적이 있네요.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http://dayoneapp.com/
Day One: 깔끔한 아이폰 용 저널(일기) 어플
최고의 일기장 앱 'Day One Journal'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