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아이폰6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아이폰6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10월 10일 토요일

계륵


아이폰 6s 의 한국발매일이 2015. 10. 23.로 정해졌습니다(관련 아이폰 6s 6s 플러스 국내판매 '10월 23일' 확정). 아이폰 5s를 사용하다가 작년 11월경 아이폰 6가 발매될 당시 교체의사가 있었던 저는 아이폰 6 발매를 1달여 앞두고 쓰던 아이폰 5s의 액정을 깨뜨리고 말았습니다. 생폰이 그립감이 좋았기 때문인데 수시로 수전증으로 휴대폰을 떨어뜨리는걸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던 탓이 컸습니다. 그래서 유상 리퍼를 받은 이후 아이폰 6로 교체하는 것을 미룰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런데 올해도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말았습니다. 어제 갑자기 잘 쓰던 아이폰이 꺼지더니 부팅을 하려고 해도 사과 로고와 블루스크린만 반복해서 나오면서 고장이 난 것입니다. 서비스센터에 갔더니 메인보드에 문제가 생긴 것 같다면서 보증기간이 끝난 기계라 유상 리퍼폰 교환 밖에는 할 수 없다고 하더군요. 데이터는 며칠 전에 백업해 둔 것이 있기 때문에 문제 없지만 아이폰 6s 의 한국발매가 발표된 것에 맞춰서 또 유상 리퍼를 받으면 또 1년을 기다려 아이폰 7을 사야할 것인지... 리퍼받은 폰을 중고로 팔아버리고 아이폰 6s 사용자 대열에 합류하여야 할지 고민이 생겨버린 것입니다. 리퍼폰을 계속 쓰자니 아이폰 6s의 새로운 기능인 3D 터치와 성능개선된 카메라가 눈에 밟히고, 바꾸자니 리퍼폰에 들인 비용이 눈에 밟히고... "계륵"을 읊조린 조조의 심정이 이해가 가고 있습니다.

어쨌든 리퍼받은 폰을 사무실에 가져와서 백업복구 중인데 앱을 많이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복구시간이 1시간이 다 되어 가네요. 잡스 사후 애플과 다른 메이커들과의 차이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가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사건이었습니다.



2014년 10월 31일 금요일

(애플빠에게) 희소식


아이폰6 판매가 시작되었습니다. 아쉽게도 제 아이폰5S는 액정에 금이가서 리퍼를 받는 바람에 아이폰6를 새로 구매하지는 못하게 되었고, 와이프의 아이폰5도 내년1월까지 약정기간이라 그 이후에나 교체를 고려해야 되기 때문에 우리 집에서는 아이폰6 사용자를 배출하지 못하는 암울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아이폰4를 쓰시는 어머니께서 게임이 너무 느리고 잘 안돌아가신다며!!!! 전화기를 바꾸고 싶다시고 하셔서 아이폰6를 알아보았습니다. 단통법의 시행 이후에 통신사의 플랜을 이용해서 전화기를 사게 되면 문제가 있다는 주위의 의견이 많아서 언락폰을 사보는게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마침 이런 기사(애플스토어, 아이폰6·아이폰6+ 언락폰 "85만원부터")가 보이길래, 애플스토어에 가 보았습니다.

애플스토어는 직장에서 발생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서 맥북프로를 구입하기 위해 들어간 이후 3-4년만에 들어간 것이었는데요. 기억에 남는 것은 애플제품을 사기 위해서 들어갔는데 그 당시에는 사파리나 크롬에서는 결제가 되지 않아서 다시 윈도우-인터넷익스플로러를 연 다음 결제를  할 수 밖에 없어서 인터넷시대의 갈라파고스제도를 실감하였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아이폰6 언락폰을 보러 들어가서(OSX-크롬 사용) 결제창이 뜨길래, 정말 아무 기대도 없이 한번 결제창을 눌러보았는데, 어라... 그냥 진행이 되는 것입니다. 결국 신용카드결제 버튼이 나와서 그걸 눌렀는데!!!!!! 앗 애플사이트에서 그냥 신용카드 결제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결제하려고 하면 툭하면 "뭘 다운받아라 뭘 다운받아라 공인인증서 결제를 해라 핸트폰으로 본인인증을 해라"하는 창에다가 신용카드 회사에서 "새로운 결제방법이 있으니 이 결제방법을 사용해라 블라블라"하면서 새로운 창이 뜨기 일쑤라서 여간 짜증나는게 아니었는데, 별다른 결제창 없이 한번에 결제가 똬악!!!

결국 어머니가 쓰시기 위한 것이긴 하였지만 어쨌든 신용카드결제절차 간편화에 힘입어 구경하러 들어갔던 애플사이트에서 지름신이 강림하여 아이폰6 언락폰을 지르고 말았다는 슬픈 결말입니다.

수년간 (그지같은) 인터넷익스플로러 사용을 강제하던 인터넷 금융-결제기능도 이제는 독점이 풀려가는 것 같아 기분이 좋네요.

2014년 9월 19일 금요일

애플빠


아이폰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이후, 애플빠 라는 말이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씨리즈, 인터넷익스플로러, 아래아한글/MS-word가 장악하고 있는 한글편집소프트웨어 시장상황, 거기다 인터넷익스플로러에서 밖에서는 실행되지 않는 각종 보안프로그램 때문에 윈도우/인터넷익스플로러 외에는 은행거래 및 전자상거래가 사실상 불가능한 한국에서 애플의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에어, 맥북프로, 아이맥 등 애플제품을 쓰는 것은 애플에 대한 "빠심" 내지 "팬의 심정"을 가지지 않고는 불가능하다는 전제에서 쓰이는 말이겠지요.

아이폰 - 아이패드(아이패드 출시직후 미쿡에서 구입한!!! - 그러나 이후로는 업그레이드된 기종을 구입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한) - 맥북프로(그러나 화질이 대폭 향상되었다는 맥북프로레티나 까지 구입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한) - 아이맥 을 구비하고, 특별히 아래아한글/은행거래 사용시를 제외하고는 맥으로 인터넷과 업무를 하는데 별 불편을 느끼지 않는, 그리고 갤럭시노트가 나왔을 때 시큰둥하다가는 아이폰6+를 사고 싶은 마음이 불끈하는 제가 어느정도 "애플빠" 아닌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애플이 설익은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면서 서서히 노트북/PC 시장을 잠식해 갔고, 없었던 테블릿 시장마저 만들어 낸 것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고, 국내규제를 방패삼아 아이폰의 출시일정이 매번 한두달 이상 늦어지긴 하지만 아이폰 나아가 애플제품의 인기는 국내언론에서 이야기하는 사용률(10% 미만)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제는 애플이 아이폰6, 아이폰6+와 함께 발표하였던  IOS8이 배포되었습니다. 겉모습은 별로 바뀌지 않아서 별로 달라진 것도 없었고, 하드웨어가 바뀐 것도 아닌 이상 더 많은 기능이 들어갔을테니 속도도 빨라질 것을 기대하긴 어려운 상황이긴 합니다만, 맥의 운영체제가 매버릭스에서 요세미티로 정식 업그레이드되면 모바일과 데스크탑을 잇는 애플의 생태계는 더욱 공고해져서 애플빠는 빠져나오기 힘들게 되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처음엔 저게 뭐야 했던 애플워치도 슬슬 관심이 가고 있는걸 보니 천상 애플빠가 맞긴 한 것 같습니다. 어찌되었건 해외에서 직수입해서 쓸 생각까지는 없으니 우리나라에 출시될 날만 기다려야 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