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26일 수요일
[책 소개] 기사단장 죽이기
무라카미 하루키(홍은주 역), 기사단장 죽이기 1/2, 문학동네(2017)
여름휴가시즌을 맞아 출간된 무라카미 하루키의 신작에 대한 임경선 작가님의 소개(신문기사 본문듣기 서비스 포스팅 참조)를 읽고 한 결심을 지난 주말 영풍문고 강남역점에서 기사단장 죽이기 2권을 할인가에 구입함으로써 반 정도 실현했고(뜻밖의 할인@영풍문고 강남역점 포스팅 참조), 이어 4일동안 틈틈이 읽어서 독서를 통한 여름휴가 즐기기가 조기 종료되었습니다.
물론 폭염과 찾아온 열대야도 수박과
술술 읽히는 페이지터너 라면 쉽게 넘어갈 수 있더군요.
이젠 20-30대에서 느끼던 하루키 소설에 대한 뭔가 생경하고 신비로움이 걷히고, 오히려 익숙해져 버린 듯한 느낌이라 아쉬움도 있기는 했지만, 역시나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화가나 그림의 느낌이 실제로 느껴지는 듯한 묘사는 역시 하루키라 할만 했고, 생각해 보면 정말 사건이랄 수 없는 것들로 독자를 쥐락펴락하는 것도 읽는 내내 쏠쏠한 재미였습니다. 간간히 소설과 직접 관련이 없는 듯한 인생의 경구(?!) 같은 것도 읽는 재미를 더해 주었구요. 여름휴가 때 읽을 만한 소설로 추천합니다. 다음은 인상깊은 구절들입니다.
깊숙이 들여다 보면 어떤 인간이든 저 안쪽에 반짝이는 무언가를 갖고 있기 마련이다. 그것을 잘 찾아내어, 혹시 표면이 뿌옇다면(뿌연 경우가 더 많은지도 모른다) 헝겊으로 말끔히 닦아준다. 그런 마음가짐이 으레 작품에 배어 나오기 때문이다.
-무라카미 하루키, 기사단장 죽이기 1, 문학동네(2017), 27면.
내가 '기사단장 죽이기'라는 제목의 야마다 도모히코의 그림을 발견한 것은 그 집에 오고 몇 달이 지났을 무렵이었다.
-무라카미 하루키, 기사단장 죽이기 1, 문학동네(2017), 75면.
아무리 의욕이 넘친다 한들, 가슴속 어딘가가 욱신거린다 한들 일에는 구체적인 시작이 필요한 법이다.
-무라카미 하루키, 기사단장 죽이기 1, 문학동네(2017), 78면.
사람에게 마흔이라는 나이는 하나의 분수령이다. 그 고개를 넘어가면 더는 예전과 같을 수 없다.
-무라카미 하루키, 기사단장 죽이기 1, 문학동네(2017), 84면 : 가슴아프네요. ㅡㅡ;
시간이 흐른 뒤 돌아켜보면 우리의 인생은 참으로 불가사의하게 느껴진다. 믿을 수 없이 갑작스러운 우연과 예측불가능한 굴곡진 전개가 넘쳐난다. 하지만 그것이 실제로 진행되는 동안에는 대부분 아무리 주의깊게 둘러보아도 불가해한 요소가 전혀 눈에 띄지 않는다.
-무라카미 하루키, 기사단장 죽이기 1, 문학동네(2017), 94-95면.
왜냐하면 그 그림의 본질이 우의에 있고, 비유에 있기 때문이지. 우의나 비유는 말로 설명할 것이 아니네. 그냥 이해해야지.
-무라카미 하루키, 기사단장 죽이기 1, 문학동네(2017), 504면.
마음이 가는 길은 관습이나 상식이나 법률로는 규제할 수 없다. 지극히 유동적이다. 그것은 자유로이 날갯짓하며 이동한다. 철새에게 국경의 개념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무라카미 하루키, 기사단장 죽이기 1, 문학동네(2017), 526면.
나이가 몇이든 모든 여자에게 모든 나이는 곧 미묘한 나이다. 마흔살이든 열세살이든 그녀들은 언제나 미묘한 나이에 놓여 있는 것이다.
-무라카미 하루키, 기사단장 죽이기 2, 문학동네(2017), 82면.
"넌 아마 모르겠지만, 골프란 정말 기묘한 게임이야. 그렇게 괴상한 스포츠는 또 없을걸. 다른 어떤 스포츠와도 비슷한 구석이 전혀 없어. 사실 그걸 스포츠라고 부르는 것조차 상당히 무리가 따르지 않아 싶어. 그런데 또 신기하게도, 한번 그 기묘함에 익숙해지면 발을 뺄 수 없어진단 말이야."
-무라카미 하루키, 기사단장 죽이기 2, 문학동네(2017),107면.
2017년 7월 14일 금요일
신문기사 본문듣기 서비스
출근하면서 휴대폰에서 기사[하루키, 무엇이 달라졌는가, 조선일보 2017. 7. 14.자 기사]를 보다가 못보던 메뉴가 있어서 눌러봤습니다. 온라인 기사에는 메뉴가 없고, 모바일 기사에만 메뉴가 있는 모양이네요.
바로 "본문듣기"라는 메뉴였습니다. 스마트폰에서 기계 남자목소리가 기사를 읽어주네요. 책읽어주는 성우같이 편안하지는 않지만, 운전하면서 읽어주는 기사를 듣는 것도 괜찮은 경험이었습니다. 조선일보만 서비스하는지 다른 일간지도 서비스하는지 모르겠지만 괜찮은 시도 같습니다. 흠, 무라카미 하루키의 신작소설에 대한 평이었는데, 기존 하루키 작품의 재탕이라는 비판과 하루키 스타일의 집대성이라는 호평이 임경선 작가의 내면에서도 싸우고 있는 모양이네요. 2권에 1,000페이지가 넘는 양인데, 여름휴가 기간 동안 독파해볼까 생각중입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