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9월 30일 수요일
[골프] 80대 진입
2005년 여름경부터 같은 사무실 동료와 골프를 시작해서 2006년 1월 머리를 올렸지만 제대로 치지 못하고 있다가, 2013년 5월부터 3개월 레슨을 받으면서 다시 본격적으로 시작한 골프..
2013. 7. 31. 베어즈베스트 GC에서 100을 깬 이래(95타) 2년여만인 2015. 8. 16. 더플레이어스 GC 에서 90을 깼습니다(87타). 그 이후의 7번의 라운딩에서 2번 더 80대 스코어를 기록했으니 컨디션이 괜찮으면 80대를 치는 골퍼 정도의 수준은 된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타수대별 실력을 120+대/110대/100대/90대/80대/70대(싱글) 로 나누어볼 때(마인드골프의 포스팅 타수대별 골프생각 그리고 골프즐기기 참조) 아마추어중에서 중간 이상은 간다고 할 수 있겠지요.
아마추어 교습가인 마인드골프의 경험으로도 90대에서 80대 들어오는 데 가장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하는데 아직 완벽히 80대에 들어온 것은 아니라고 해도 2년만에 80대에 진입한 것이 대견하기도 합니다. 마인드골프에 따르면 "자신만의 고유한 스윙도 있고, 때에 따라서는 샷을 응용해서 칠 수도 있고, 클럽의 특성과 느낌을 몸이 이해하는 시기"라고 하네요. 9월들어 날씨가 너무 좋았기 때문에 여러번 나가면서 아마도 지금까지 골프를 쳐온 기간중 지금이 내가 골프를 제일 잘 치는 시기 라는 생각이 들어서 기분이 좋기도 합니다.
80대를 치는 것은 마냥 어려워보이기만 했는데, 생각해 보면 좋은 스코어를 올린 라운딩은 몇가지 특징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우선 스코어에 대한 걱정이나 생각 없이 플레이에 열중한 날이었습니다. 쉬운 골프장이 아니라 어려운 골프장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샷 하나하나에만 신경쓰고 전체 스코어를 세어보지 않았었죠. 한홀한홀 보기만 하면 잘했다고 하고 넘어가니 어쩌다 파도 하고 실수해도 더블보기 하는 정도로 막고 하면서 라운딩을 끝낼 수 있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의식하지 않고 전반을 41타로 친 것을 깨닫고 긴장하고 잘쳐보려고 후반에 들어서서 엉망진창이 되어버리는 경험도 하고 나니(결국 그 경기에서는 후반에만 53타를 쳐서 93타를 기록하고 말았습니다), 가장 큰 적은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 있다는 걸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점점 드라이버OB도 줄고, 아이언샷도 그린에 떨어뜨리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실제 필드에서도 파온(파4에서 2번에, 파5에서 3번에 그린에 올리는 것)을 종종 하게 되어서 더욱 자신감이 붙게 되고, 다시 그것이 스윙을 안정시켜서 상승작용이 일어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골프는 구력"이라고 하는 말은 실수를 하거나 스윙이 잘 안될 때, 자신을 추스르고 잘 될때의 느낌을 떠올려서 플레이를 안정시킬 수 있는 능력은 경험에서 나오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2013년부터 1년에 20회에서 30회 정도의 라운딩을 나가면서 이제는 100회 정도의 라운딩을 소화했으니 경험도 왠만큼 쌓였겠거니 생각되지만 아직도 필드에 나가서 첫 티샷을 하려 하면 설레는 걸 보면 그런 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이제는 그린 위에 제가 만든 "피치마크"를 수리하는 수리기도 가져가서 피치마크도 수리하는 여유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실 90타대를 치기 전까지는 수리기는 큰 필요가 없습니다. 일단 온그린을 시키기 어렵고 그린 주변에서 어프로치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자신이 피치마크를 발생시킬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피치마크는 50-60미터 이상 되는 거리에서 바로 온그린을 시켰을 때 스핀먹은 공이 그린을 때리면서 파고들어서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짧은 어프로치로는 발생하지 않지요. 100타를 깨기 어려운 골퍼의 경우 긴거리에서 아이언으로 온그린시키는 경우가 한경기에 한두번 발생하기도 어려워서 때문에 자연히 피치마크 수리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입니다(물론 우리나라 골프장에서는 그린을 보수하는 분이 라운딩 도중에도 그린을 보수하곤 하기 때문에 골퍼 본인이 피치마크 수리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자신의 퍼팅라인에 피치마크가 있는 경우, 본인이 바로 피치마크를 수리함으로써 플레이시간도 줄일 수 있고, 캐디가 일행의 공을 닦거나 라이를 봐주는 시간을 확보해주게 되어서 매너있는 골퍼로 기억될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수리기를 가지고 다니게 된 건 로리맥길로이가 자신의 프로 생에 첫 홀인원을 하고 공을 집으러 갈 때, 자신의 공이 만든 피치마크를 수리하고 공을 집어드는 모습을 보고 였습니다. 만약 홀인원을 하시면 바로 공을 집지 마시고 자신의 공이 만든 피치마크를 수리하고 퍼터/또는 발로 꾹꾹 눌러준 다음 골프공을 집는 퍼포먼스도 괜찮을 것입니다. 골프도 역시 실력이 늘면 늘수록, 많이 알면 알수록 즐거운 운동인 것 같습니다.
2015년 8월 21일 금요일
[골프] 드라이버 커버
골프를 처음 시작하면 이것저것 마련할 것도 많고 골프장에 한번 가려면 챙겨야 할 것도 굉장히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 초보티를 벗지 못했을 때에는 티박스에 서기 전에 장갑이 없다든지, 티가 없다든지, 모자에 달려있어야 할 마커가 없는 경우도 허다하고, 너무 볼을 많이 잃어버려 필드에서 주운 공을 친다든지 동반자에게 볼을 빌리는 것도 부지기수였습니다.
재작년쯤 되어서야 골프장을 1달에 1-2번 이상 나가면서 준비에 익숙해 져서 백에 넣어가야 할 옷과 양말, 파우치에 항상 들어 있어야 하는 골프용품들, 캐디백 안에 여벌의 골프화와 충분한 골프공 등 넣어두는 등 필드에 나가서 허둥지둥하는 일이 거의 없어졌습니다.
여유가 생기자 단순히 골프라는 운동을 즐기는 것을 넘어, 동반자가 입고온 골프복장도 유심히 살피게 되고, 동반자가 쓰는 채도 관심이 가게 되고, 제 채나 복장을 꾸미는 것도 하나의 재미가 되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드라이버 커버를 구입할 때 제조사에서 주는 커버가 아닌 커버로 바꾸는 것이었습니다. 드라이버 커버를 독특한 것으로 쓰는 유명한 선수로는 타이거우즈와 로리맥길로이를 들 수 있는데요. 타이거우즈는 그 이름대로 호랑이 커버를, 로리맥길로이는 강아지 커버를 쓰고 있죠. 그래서 나이키에서는 드라이버를 출시하면서 타이거의 호랑이커버나 로리의 강아지커버를 함께 넣으면서 짱짱한 가격을 부르는 마케팅([프로모션] 타이거의 베이퍼 스피드 TW 드라이버 출시, [이벤트] 메이저 기념 로리 RZN 특별 패키지 이벤트)을 하고 있기도 합니다.
* 사진은 로리와 타이거의 드라이버 커버
제가 처음 샀던 드라이버 커버는 재작년 일본 골프여행에 가서 샀던 코끼리 헤드커버입니다. 색깔도 어둡고 해서 때도 잘 안타고 귀여워서 애용했었습니다.
그리고 올초에는 스크린골프를 자주 즐기다 보니 골프존에서 이벤트가 당첨되어 병아리 헤드커버가 와서 교체해서 쓰고 있었습니다.
지난 주에는 후배들과 춘천의 더플레이어스 GC에 라운딩을 나갔는데 그날따라 마음이 편했는지 큰 실수를 많이 하지 않아서 87타의 라이프베스트 기록을 세웠습니다. 생애 처음으로 보기플레이를 한 것이죠. 같이 갔던 후배가 8자를 그린 것을 축하한다며 드라이버커버를 선물해 주어 세번째로 드라이버커버를 바꿨습니다. 백호 드라이버커버인데, 이제 육식동물 커버로 바꾼 것이 실력향상에 더 효험이 있을 것으로 기대해 봅니다.
재작년쯤 되어서야 골프장을 1달에 1-2번 이상 나가면서 준비에 익숙해 져서 백에 넣어가야 할 옷과 양말, 파우치에 항상 들어 있어야 하는 골프용품들, 캐디백 안에 여벌의 골프화와 충분한 골프공 등 넣어두는 등 필드에 나가서 허둥지둥하는 일이 거의 없어졌습니다.
여유가 생기자 단순히 골프라는 운동을 즐기는 것을 넘어, 동반자가 입고온 골프복장도 유심히 살피게 되고, 동반자가 쓰는 채도 관심이 가게 되고, 제 채나 복장을 꾸미는 것도 하나의 재미가 되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드라이버 커버를 구입할 때 제조사에서 주는 커버가 아닌 커버로 바꾸는 것이었습니다. 드라이버 커버를 독특한 것으로 쓰는 유명한 선수로는 타이거우즈와 로리맥길로이를 들 수 있는데요. 타이거우즈는 그 이름대로 호랑이 커버를, 로리맥길로이는 강아지 커버를 쓰고 있죠. 그래서 나이키에서는 드라이버를 출시하면서 타이거의 호랑이커버나 로리의 강아지커버를 함께 넣으면서 짱짱한 가격을 부르는 마케팅([프로모션] 타이거의 베이퍼 스피드 TW 드라이버 출시, [이벤트] 메이저 기념 로리 RZN 특별 패키지 이벤트)을 하고 있기도 합니다.
* 사진은 로리와 타이거의 드라이버 커버
제가 처음 샀던 드라이버 커버는 재작년 일본 골프여행에 가서 샀던 코끼리 헤드커버입니다. 색깔도 어둡고 해서 때도 잘 안타고 귀여워서 애용했었습니다.
그리고 올초에는 스크린골프를 자주 즐기다 보니 골프존에서 이벤트가 당첨되어 병아리 헤드커버가 와서 교체해서 쓰고 있었습니다.
지난 주에는 후배들과 춘천의 더플레이어스 GC에 라운딩을 나갔는데 그날따라 마음이 편했는지 큰 실수를 많이 하지 않아서 87타의 라이프베스트 기록을 세웠습니다. 생애 처음으로 보기플레이를 한 것이죠. 같이 갔던 후배가 8자를 그린 것을 축하한다며 드라이버커버를 선물해 주어 세번째로 드라이버커버를 바꿨습니다. 백호 드라이버커버인데, 이제 육식동물 커버로 바꾼 것이 실력향상에 더 효험이 있을 것으로 기대해 봅니다.
2015년 3월 13일 금요일
[사용기] 나이키 베이퍼 프로 드라이버
나이키골프에서 베이퍼 드라이버를 출시하면서 렌탈신청을 받길래 신청했더니 덜컥 당첨이 되어서(현재는 렌탈 서비스가 마감된 상태입니다) 1주일 동안 베이퍼 드라이버를 써볼 기회가 생겼습니다. 베이퍼 드라이버는 베이퍼 플렉스(55만원), 베이퍼 프로(50만원), 베이퍼 스피드(45만원) 세가지가 있는데, 베이퍼 플렉스는 샤프트가 SR, S, X 등 강한 것 밖에 없어서 R 강도 렌탈채가 있는 베이퍼 프로로 신청해서 받아보았습니다.
잡지나 신문기사에서 베이퍼 드라이버의 특징을 1) 플라이빔 구조, 2) 컴프레션채널, 3) 플렉스로프트2.0 이라고 선전하고 있는데, 드라이버로서는 특이하게 캐비티백 구조를 택하고 있어서 가운데가 비어 있는 구조를 보완하고 있고, 공이 맞는 면의 반발력을 크게 할 수 있도록 채널이라는 공간을 넣었다는 것이며, 간단한 도구로 로프트와 구질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것입니다. 드라이버와 같이 생긴 도구를 통해 1-2분이면 로프트각을 9.5도 10.5도 11.5도로 바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은 꽤 편하더군요.
2번 정도 스크린골프장에서 휘둘러 보고, 1번 필드에 나가서 사용하여 본 소감은 현재 쓰고 있는 테일러메이드 버너 US 스펙보다 약간 짧고 가볍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스윙할 때 채를 다루기가 조금 더 쉽습니다. 아시안스펙이 일반적으로 US스펙보다 짧은 것이 일반적일 것이기 때문에 동등한 조건에서 비교대상이 되지는 않을테지만, 필드에서도 후반에 들어서면서 고질적인 슬라이스 구질이 잡히는 듯한 느낌이 맘에 들었습니다. 신제품이라 가격이 너무 비싸서 사서 쓰는 것은 주저되는 것이 사실이기는 합니다. 로리 맥길로이가 쓰는 드라이버를 써보고 싶으신 분이라면 써보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2014년 7월 21일 월요일
4대 메이저 대회
*사진은 이번 브리티쉬 오픈에서 우승한 로리 맥길로이 선수 입니다.
로리 맥길로이가 이번 브리티쉬 오픈(디 오픈, 전영오픈)에서 우승하였습니다. 나이키로 채를 바꾼 후에 한 1년 고생하더니 적응을 마쳤나 보네요. ^^; 나이키 골프용품들이 예쁘기도 하고, 어렸을 때 워낙 나이키 운동화에 대한 선망이 있다 보니 골프 시작하고 나서도 골프복과 골프화, 모자 등등 모두 나이키로 하기도 했었던 것이 생각납니다(지금은 테일러메이드-아디다스 일색).
골프기사를 보다 보면 4대 메이져 대회를 언급하면서, 메이져 타이틀이 하나라도 있으면 꼭 언급해 주고, 메이져 대회에서 모두 우승을 하는 "(커리어) 그랜드슬램"을 달성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곤 합니다. 그래서 찾아보았습니다. 남자 프로골프 4대 메이져 대회는 다음 네 개의 대회를 말합니다.
PGA Championship
Masters Open
British Open (The Open)
US Open
로리 맥길로이는 이미 PGA 챔피언십과 US 오픈 우승경력이 있었는데, 이번에 브리티쉬 오픈에 우승해서 3개의 메이저 대회를 석권하게 된 것입니다. 25세 이전에 3개 메이져 대회를 우승한 것은 잭니클라우스와 타이거우즈 두 명 밖에 없었다고 하네요.
LPGA 에도 메이져 대회가 있는데, 박인비 선수가 작년에 메이져 대회 중 3개 메이져 대회에 우승해서 1년에 4개 메이져 대회를 모두 우승하여 (커리어 그랜드슬램이 아니라 진정한) "그랜드슬램"을 달성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았던 것도 기억납니다. LPGA 메이져 대회는 다음과 같습니다. LPGA에서는 작년에 에비앙 마스터스가 5번째 메이져 대회로 승격하여 5개의 메이져 대회가 있습니다. 남자 대회와 달리 타이틀스폰서가 변경됨에 따라 꽤 변동이 있는 편입니다.
Kraft Nabisco Championship
LPGA Championship
U.S. Women;s Open
Women;s British Open
The Evian Championship
로리 맥길로이 선수의 브리티쉬 오픈 우승을 축하합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