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미국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미국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8년 8월 28일 화요일

존 매케인의 고별사[번역 : 윤진수 교수님]


윤진수 교수님께서 존 매케인의 고별사를 번역해 페이스북에 올리신 것을 퍼왔습니다. 개인적으로도 소장하고 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원문 John McCain's Farewell Statement] 윤교수님과 페이스북 친구는 아니지만 전체공개로 해 놓으셨기 때문에 널리 알리고 싶어하시는 의도인 것으로 보여 그대로 옮깁니다.

지난 24일 사망한 존 매케인 미국 상원의원의 고별성명이 어제 발표되었습니다. 상당히 감동적인 내용인데, 국내에서는 전문이 소개되지 않은 것 같아, 제가 번역하여 올립니다. 원문 출처는 아래 링크했습니다.
"제가 60년 동안 감사하게 봉사할 수 있었던 미국 시민 여러분, 그리고 특히 아리조나 주민 여러분께.
여러분들께 봉사할 수 있었던 특권과, 군인과 공직자로서의 봉사가 허락해 주었던 보람있었던 삶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저는 조국을 위하여 명예롭게 섬기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저는 여러 실수를 하였지만, 미국에 대한 사랑이 그를 상쇄하였을 것을 바랍니다.
저는 종종 제가 세상에서 가장 운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제 삶의 끝에 대비하면서도 이와 같이 느낍니다. 저는 제 삶의 모든 것을 사랑했습니다. 저는 10번의 만족스러운 삶을 살기에 충분한 경험과 모험 그리고 우정을 누렸으며, 매우 감사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저도 후회가 있습니다. 그러나 제 삶의 하루도 좋은 날이건 나쁜 날이건 다른 사람들의 가장 좋은 날과 바꾸지 않을 것입니다.
이러한 만족은 제 가족의 사랑 덕분입니다. 저보다 더 사랑스러운 아내나 자랑스러운 자녀를 가진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미국 덕분입니다. 미국의 대의 – 자유, 동등한 정의, 모든 사람들의 존엄성에 대한 존중 - 는 인생의 지나가는 즐거움보다 더 숭고한 행복을 가져다 줍니다. 우리의 정체성과 의미에 대한 느낌은 우리보다 더 큰 대의를 위해 봉사함으로써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확장됩니다.
‘동료 미국인’ - 이러한 관념은 다른 무엇보다 제게 많은 의미가 있습니다. 저는 자랑스러운 미국인으로서 살고 죽습니다.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공화국, 피와 땅의 나라가 아닌 이상의 나라의 시민입니다. 우리는 조국에서나 세계에서 이러한 이상을 유지하고 증진시킬 때 축복을 받고, 인간성을 지지합니다. 우리는 독재와 가난으로부터 역사상 그 누구보다 더 많은 사람이 해방되는 것을 도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큰 부와 힘을 얻었습니다.
우리는 지구의 모든 곳에서 원한과 증오 그리고 폭력을 뿌린 부족간의 경쟁을 애국심과 혼동함으로써 우리의 위대함을 약화시켰습니다. 우리가 벽을 무너뜨리기보다 그 뒤에서 숨고, 우리가 우리의 이상의 힘이 항상 있어 왔던 변화의 큰 힘임을 신뢰하기보다는 이를 의심함으로써 위대함을 약화시켰습니다.
우리는 고집 세고 시끄러운 3억 2,500만의 개인입니다. 우리는 논쟁하고 경쟁하며, 때로는 소란한 공적 토론에서 서로를 비방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의견의 불일치보다는 서로간에 더 많은 공통점이 있습니다. 우리가 이를 기억하고, 우리 모두가 우리나라를 사랑한다는 추정의 이점을 서로에게 준다면, 우리는 이와 같은 어려운 시간을 헤쳐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이를 통하여 전보다 더 강해질 것입니다. 우리는 언제나 그래 왔습니다.
10년 전에, 저는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를 인정하는 특권을 누렸습니다. 저는 제가 그날 저녁에 그와 같이 힘차게 느꼈던 미국인에 대한 마음으로부터의 믿음을 가지고 여러분에 대한 제 작별인사를 마치려고 합니다.
저는 여전히 이를 힘차게 느낍니다.
우리의 현재의 어려움에 절망하지 말고, 언제나 미국의 약속과 위대함을 믿으십시오. 여기 불가피한 것은 없기 때문입니다. 미국인은 절대 포기하지 않으며, 우리는 절대 항복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역사로부터 숨지 않습니다. 우리는 역사를 만듭니다.
동료 미국인 여러분 작별인사를 드립니다. 하나님 여러분을 축복하시고 미국을 축복하소서."




2016년 11월 11일 금요일

진보주의의 모순


좌파나 진보주의자연 하는 사람들의 언동을 볼 때 "왜 저렇게 교조주의적이지?"하는 생각이 드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로부터는 자신과 의견을 달리 하는 사람, 특히 우파나 보수주의자들은 뭔가 모르기 때문에 나와 생각이 다른 것이고, 자신이 먼저 알고 있는 "진실/정보/이념"을 알게 된다면 당연히 나와 같은 생각을 할 수 밖에 없다는 확신을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좌파나 진보주의자가 주장하는 사상의 근본만 생각해 보아도 그들의 교조주의적인 태도는 이율배반적이라는 지적을 받게 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이번 미국 대선의 결과가 당연히 진보주의적 가치를 선점하고 있던 "힐러리"가 아니라 또라이에 성추행범 혐의까지 안좋은 이미지는 죄다 가지고 있던 부동산재벌 "트럼프"의 승리로 끝난 이유 중 하나가 저는 이러한 좌파의 교조주의적 태도에서도 기인하지 않는지 자문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던 와중에 다음 칼럼을 읽었습니다(진보주의자들의 흔한 착각: "나는 다양성을 존중한다"). 뉴욕타임즈에 2016. 5.경에 게재되었던 글인데 일독을 권합니다.

좌파나 진보주의자가 되는 것은 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옳다고 믿는 가치를 자신의 삶에 체화해야 다른 사람을 점진적으로 설득하고 사회를 바꿔나갈 수 있는데, 그러한 가치는 오롯이 타인을 위한 것이기에 자신과 가족의 삶의 행복 증진에는 1/n(여기서 n은 작게는 지역공동체, 넓게는 나라/세계 전체가 되어버립니다)정도의 미미한 영향력 밖에 줄 수 없어서 자신의 신념과 행동으로 타인과 사회를 바꾼다는 사명감 없이는 유지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트럼프의 엉망진창인 망나니짓보다 소수자의 보호를 외치는 힐러리가 퍼스트레이디 경력을 가지고 수년동안 강연료로 천문학적인 수입을 올린 것에 대한 반감 내지 배신감을 느낀 미국인이 많았다는 이번 미국 대선 결과를 "민중/서민의 승리"와 같은 것으로 포장하여 정신승리하고 있다면 진보주의자가 세상을 바꾸는 일은 점점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015년 4월 29일 수요일

한국과 미국의 차이

웹서핑을 하다가 보통 한국사람이 보통 미국사람보다 똑똑하고 일도 잘하는데 왜 한국의 노동생산성이 미국보다 떨어지는지에 대하여 링크된 글을 읽었습니다. 맞는 것 같습니다. 좀 오래되긴 했지만 무릎을 탁 치게 되는 글이라 공유해 봅니다.

[경영 노트] 한국의 노동 생산성이 미국의 절반밖에 안 되는 이유, 2009. 5. 8. 장용성 미 로체스터 대 교수

2015년 3월 3일 화요일

미국 베스트 드라이브 코스 12곳

아직도 2주전에 다녀왔던 미국여행의 여운이 가셔지지 않습니다. 자동차를 몰고 해안도로를 달리면서 시시각각 바뀌는 풍광을 보던 경험은 쉽게 잊혀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날이 더 맑았으면 좋았겠다는 생각도 들지만 날이 좋으면 좋은대로 흐리면 흐린대로 비오면 비온대로 다 그 때의 좋은 기억으로 남지 않겠나 싶습니다.


여행 가기 전에 캘리포니아를 소개하는 책자[윤영주/윤희상, 디스 이즈 캘리포니아, 테라(2015) - 꽤나 내용도 많고 아기자기한 구성의 안내책자입니다. 캘리포니아+라스베가스(그랜드캐년) 정도의 일정을 준비하는 분들께 추천할 만합니다]를 하나 사서 슥 훑어보기만 하였는데, 다녀와서 다시 보니 중간에 Writer's Pic이라고 미국의 베스트 드라이브코스 12곳이 소개되어 있네요(이 책에서도 허핑턴포스트가 출처라고 하여 찾아보니 The Best Roadsto drive in America 이 포스팅인 것 같습니다). 이 드라이브코스들을 달려보는 것을 만약 기회가 된다면 해보고 싶은 버킷리스트에 올려놓으렵니다. 1/12 달성 ㅎㅎㅎ

퍼시픽코스트 하이웨이 1 (캘리포니아주)

US395 국도(캘리포니아주)
레드록 시닉 로드(애리조나주)
코튼우드 패스(콜로라도주)
화이트림 로드(유타주)
고잉 투 더 선 로드(몬태나주)
블루 리지 파크웨이(노스캐롤라이나 & 버지니아주)
로드 투 하나(하와이주)
I-90 (사우스 다코타주)
내처즈 트레이스 공원도로(미시시피, 앨라배마 & 테네시주)
오버시스 하이웨이(플로리다주)
커브드 브리지 시닉 바이웨이(오하이오주)



2015년 2월 24일 화요일

미국여행 소감

지난 설 연휴를 포함하여 2월 10일부터 23일까지 가족과 함께 미국서부여행을 다녀온 덕분에 그 동안 블로그 업데이트가 없었습니다. 혹시나 업데이트를 기다리신 분이 계셨다면 죄송하단 말씀을 전합니다.

LA 인근에 사는 친척집을 근거지로 삼아 LA-라스베가스-그랜드캐년-라스베가스-LA-1번 해안도로 도시(산타바바라-솔뱅-모로베이-빅서-카멜-몬트레이 17마일 드라이브)-샌프란시스코-LA를 돌아보는 일정이었습니다. 2012년의 유럽여행 당시 일주일만에 온가족의 체력이 방전되어 여행 후반부에는 상대적으로 재미없고 피곤해졌었는데, 이번에는 근거지가 있다보니 한국음식을 찾아다닐 필요없이 여행 자체를 즐길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이번 미국여행에서 느낀 점이라면 이 정도..
1. 음식이나 물건의 가격 자체(특히 기름값!!!)는 한국에 비하여 저렴. 하지만 팁 등을 고려하면 비슷한 수준으로 맞춰지는 듯한 느낌
2. 미국 서해안 1번 고속도로의 풍광은 명불허전
3. 작은 소도시들이 관광객들에게 기억이 남는 관광지로 잘 개발/정리되어 있음
4. 거대한 자연풍광만으로도 충분히 가볼만한 이유가 됨
5. 인터넷속도는 역시 한국이 짱..(데이터로밍하더라도 2G, 3G 정도의 인터넷속도가 상당히 느린 편, 에그임대는 속도가 LTE정도라고 하므로 다음 기회가 있다면 이용해 볼 예정)
6. 땅이 넓다보니 전화도 안되는 곳이 있음!!!(1번 고속도로를 타고 산속으로 들어가는 경우 등)
7. 확실히 관광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음
8. 캘리포니아의 2월은 완연한 봄날씨(2월 중순임에도 섭씨 16도-28도 정도)
9. 놀이공원에서 느껴지는 자본주의(돈을 더 내는 사람은 줄안서고 놀이기구 타는 것이 가능)
10. 자동차문화가 전반적으로 느굿함(LA 부근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빵빵대거나 끼어드는 차량이 별로 없음)

돌아다닌 주요 관광지의 사진들을 남겨봅니다.

1. 디즈니랜드(퍼레이드/판타즈믹 쇼 중)


2. 라스베가스(벨라지오 호텔 오쇼 극장/파리호텔)



3. 그랜드캐년



4. 산타바바라(old mission)


5. 솔뱅(덴마크 마을)


6. 빅서(Ragged Point Inn) - 이곳은 블로거 조성문의 실리콘밸리 이야기의 1번 해안도로 관련 글(내가 좋아하는 실리콘밸리 여행지 7곳)과 친구의 추천을 받아 간 곳이었는데, 너무나 만족할 만한 곳입니다. 강력히 추천합니다.



7. 카멜


8. 17마일 드라이브/페블비치


9. 트윈픽스(샌프란시스코)

10. 배터리 스펜서(금문교)
11. 소살리토

12. 뮈어우즈 국립공원


13. 코잇타워(샌프란시스코)


14. 샌프란시스코 유람선



15. Pier39(샌프란시스코)

16. 스탠포드 대학교


17. 유니버설 스튜디오(워터월드 쇼 세트장/스튜디오 전경)


2014년 11월 11일 화요일

전자여행허가제(ESTA)에서 삽질하기


미국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이제 비자면제프로그램에 따라서 전자여행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내년 미국여행계획이 있어서 항공권을 예약하면서 전자여행허가도 받아보았습니다. 답변은 영문으로 써야 하지만 신청페이지 자체는 한국어를 지원하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그러나 영문 페이지에서 그냥 진행했다는 건 함정 ㅡㅡ). 수수료는 1명당 14달러입니다.

여권 기재사항과 근무처/전 근무처, 미국여행시 연락처, 각종 질병이 있는지 여부 등을 요구하는데 하루만에 승인되더군요. 문제는 일단 수수료를 내고 승인신청을 한 이후에는 수정이 안된다는 점입니다. 물론 수수료를 내기 전에 몇번씩 확인을 시켜주는 시스템이 있기는 하고, 수수료를 내기 전에는 신청이 되지 않으므로, 수수료를 내기 전에는 모든 사항을 다시 수정할 수 있습니다.

또 전자여행허가신청을 그룹으로 할 수 있으므로 다른 사람의 여행허가신청을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여권사본만 있으면 여행사가 대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주의할 점은 신청서에 영문이름을 잘못 기재하고 신청하면서 수수료까지 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영문이름을 잘못 기억하고 있는 사람이 어디 있느냐 하겠지마는... 영문표기가 여러개로 가능한 사람은 그럴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저도 제 아들의 여권상 영문이름을 잘못 기억하여 기재한 후 신청하고 수수료까지 냈다가, 승인이 나 버린 다음에야 여권상 영문이름과 신청서에 기재한 영문이름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한글로 "준"을 "JUN"으로 기재하였는데, 여권상에는 "JOON"으로 기재되어 있다는 것을 뒤늦게 알게 된 것입니다. 이미 허가 승인이 난 경우에는 승인이 된 신청서를 수정하는 방법이 없고 다시 신청할 수 밖에 없다는 안내문을 확인하고 난 후 다시 14달러의 수수료를 내고 전자여행허가 승인을 받았습니다.

삽질도 이런 삽질이 없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만, 제가 잘못 기억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여권상의 영문이름을 확실하게 확인하지 않은 탓이기 때문에, 액땜했다고 생각하기로 했습니다.

2014년 4월 25일 금요일

미 연방대법원의 소수집단 우대정책 관련 판결


미 대법원, 미시간 주의 소수집단 우대정책 철폐조치를 인정하다 News Peppermint 2014. 4. 23. 기사

위 기사들을 훑어보면 이번 판결의 파장과 전망을 대강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영문으로 읽고 싶으시면 네번째 블로그를 추천합니다, 말미에 당해 판결의 주심, 찬성/반대한 연방대법관들을 사진으로 표시한 것이 인상적이네요.). 간단하게는 "소수집단 우대정책을 철폐하는 주헌법의 개정은 위헌이라고 할 수 없다. -주헌법의 소수집단 우대정책을 철폐 여부는 (적법한 절차를 따른 이상) 주정부가 결정할 문제이지 연방대법원이 개입할 문제는 아니다-"란 취지입니다. 소토마이어 연방대법관이 판결문의 절반 정도 분량의 반대의견을 내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 자신이 미국사회에서 연방대법관이 될 수 있었던 이유가 된 제도가 소수집단 우대정책이었으므로 당연한 것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사소한 것이지만 기사들 사이에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어 보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첫번째 뉴스페퍼민트의 기사에서는 "소수집단 우대정책은 1965년의 존슨 미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세번째 중앙일보 기사에서는 "AA는 인권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던 지난 1961년 케네디 대통령이 '동등고용기회위원회'를 설립하면서 처음 정부 정책에 도입"되었다고 하고 있네요. 두 기사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것 같아 무엇이 맞는 말인지 찾아 보았는데 각 기사가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만 인용하여 생긴 일인 것 같습니다. 클린턴 정부의 1995년 자료("Affirmative Action: History and Rationale". Clinton Administration's Affirmative Action Review: Report to the President. 19 July 1995.)에 따르면 케네디 대통령은 1961년에 동등고용기회위원회를 설립하고 행정명령 10925를 발령하였는데, 이 행정명령에서 차별금지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조치들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AA"가 (처음) 사용되었고, 1965년 린든 존슨 대통령이 인종, 종교 그리고 출신지와 관계없이 고용기회의 평등을 확보하기 위한 AA를 연방 계약자들에게 의무화한 행정명령 11246호를 발령(함으로써 처음 정부정책으로 도입)하였다고 보는 것이 정확한 것 같습니다. 원문 해당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In response to the civil rights movement, President John F. Kennedy created a Committee on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in 1961 and issued Executive Order 10925, which used the term "affirmative action" to refer to measures designed to achieve non-discrimination. In 1965, President Johnson issued Executive Order 11246 requiring federal contractors to take affirmative action to ensure equality of employment opportunity without regard to race, religion and national origin.

하나 더 지적하자면 affirmative action("AA")의 해석에도 약간 혼선의 여지가 있는 같습니다. 물론 이번 미 대법원 판결에서 AA를 "소수집단 우대정책"으로 해석하여도 무리가 없습니다. 소수집단 우대정책이 AA의 가장 대표적인 예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AA는 "적극적 평등실현조치"라고 해석하는 것이 맞고, 소수집단 우대정책은 "Preferential treatment of minorities"의 번역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맞는 게 아닌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