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29일 수요일

개인정보보호법 적용대상



전국민의 주민등록번호가 이미 털렸다는 자조적인 농담이 오가는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사회 전반적으로 개인정보에 대한 의식이 높아진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오늘은 자신(A)과 민사소송을 하고 있는 상대방(B)이  자신(A)의 다른 민사소송 판결문을 증거로 제출하자, A가 제출된 민사소송에 자신의 개인정보가 기재되어 있으므로, B가 판결문을 법원에 증거로 제출한 행위가 개인정보보호법상 금지된 개인정보 유출행위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법 제59조, 제2조가 관련 조항입니다.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였던 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수단이나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취득하거나 처리에 관한 동의를 받는 행위
2. 업무상 알게 된 개인정보를 누설하거나 권한 없이 다른 사람이 이용하도록 제공하는 행위
3. 정당한 권한 없이 또는 허용된 권한을 초과하여 다른 사람의 개인정보를 훼손, 멸실, 변경, 위조 또는 유출하는 행위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4.3.24.>
1. "개인정보"란 살아 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영상 등을 통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해당 정보만으로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더라도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알아볼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를 말한다.
2. "처리"란 개인정보의 수집, 생성, 연계, 연동, 기록, 저장, 보유, 가공, 편집, 검색, 출력, 정정(訂正), 복구, 이용, 제공, 공개, 파기(破棄), 그 밖에 이와 유사한 행위를 말한다.
3. "정보주체"란 처리되는 정보에 의하여 알아볼 수 있는 사람으로서 그 정보의 주체가 되는 사람을 말한다.
4. "개인정보파일"이란 개인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일정한 규칙에 따라 체계적으로 배열하거나 구성한 개인정보의 집합물(集合物)을 말한다.
5. "개인정보처리자"란 업무를 목적으로 개인정보파일을 운용하기 위하여 스스로 또는 다른 사람을 통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공공기관, 법인, 단체 및 개인 등을 말한다.

민사소송의 당사자인 B가 개인정보보호법상 개인정보처리자 또는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였던 자에 해당하는지가 문제일 것인데, 결론적으로 B는 개인정보처리자 또는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였던 자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B의 행위가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라고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개인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일정한 규칙에 따라 체계적으로 배열하거나 구성한 개인정보의 집합물을 업무를 목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스스로 또는 다른 사람을 통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공공기관, 법인, 단체 및 개인이 개인정보처리자가 되는데, 약간 명의 개인정보를 받았다고 하더라도 업무를 목적으로 개인정보파일을 운용하는 자가 아니라면 개인정보처리자의 의무를 지지는 않습니다.

B가 A의 개인정보가 담긴 판결문을 입수하였다고 하더라도, B가 업무로 개인정보파일을 운용하는 자가 아니기 때문에 개인정보처리자 또는 개인정보를 처리하였던 자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대법원은 구 개인정보보호법 제71조 제5호의 적용대상자로서 제29조 제2호의 의무주체인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였던 자'에 제2조 제5호의 개인정보처리자 외에 업무상 알게 된 제2조 제1호의 '개인정보'를 제2조 제2호의 방법으로 처리하거나 처리하였던 자도 포함된다는 취지로 판시한 바 있는데(대법원 2016. 3. 10. 선고 2015도8766 판결), 이 판례에 따르더라도 개인정보보호법상 금지행위의 주체가 되려면 개인정보를 "업무"상 알게 될 것이 필요하며, 업무는 반복/계속성이 있어야 하는데, B는 A와의 소송당사자로서 A 관련 판결문을 수집한 것에 반복/계속성이 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